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GTX 연장과 반도체 벨트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평택 아파트 가격이 급락한 가운데, 반도체 불황과 공급 과잉, 부동산 경기 침체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신축 아파트도 최고가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한 상황이며, 전문가들은 공급 과잉으로 인해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평택 아파트 가격 변화 원인과 전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합니다.
반응형
📉 평택 집값 급락: 원인과 전망
📌 핵심 요약
📍 GTX 연장과 반도체 벨트 기대감으로 올랐던 평택 아파트 가격이 급락
📍 반도체 불황, 공급 과잉, 부동산 경기 침체가 하락 원인
📍 신축 아파트도 최고가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
📍 전문가들, 공급 과잉으로 하락세 지속 전망
🏠 평택 주요 아파트 가격 변화
📍 고덕국제신도시파라곤 (84㎡)
- 🔺 최고가 (2021년): 9억8000만원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3층): 5억8000만원 (-41%)
- 🔻 직전 거래 (2023년 10월, 24층): 6억6000만원 (-8000만원)
📍 고덕신도시자연앤자이 (84㎡)
- 🔺 최고가: 9억원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25층): 5억4000만원 (-40%)
📍 지제역더샵센트럴시티 (84㎡)
- 🔺 최고가: 9억원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24층): 7억7000만원
📍 더샵지제역센트럴파크 (83㎡)
- 🔺 최고가: 7억원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6층): 4억2000만원 (-40%)
📍 평택소사벌푸르지오 (83㎡)
- 🔺 최고가 (2021년): 5억5500만원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21층): 3억8400만원 (-30%)
📍 소사벌리더스하임 (84㎡)
- 🔺 최고가: 5억원대
- 🔻 최근 거래 (2024년 1월, 15층): 3억3800만원
🔍 집값 하락 원인
🔹 반도체 불황 →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공장 건설 지연, 투자 축소
🔹 부동산 침체 →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로 주택 수요 감소
🔹 공급 과잉 → 2014년 이후 지속적인 아파트 공급 증가
- 최근 10년간 8만5712가구 입주 (적정 공급량: 연 3000가구)
- 2024~2027년 2만2880가구 추가 공급 예정
📊 통계로 본 평택 집값 추이
📉 연간 집값 하락률
- 2023년 -2.86%
- 2024년 현재 -0.71%
🏚 미분양 증가
- 2023년 12월 기준 4071가구 (경기도 최다)
🔮 전망: 집값 더 떨어질까?
💡 전문가 의견
✔ "공급을 이기는 시장은 없다" → 공급 과잉이 해소될 때까지 하락세 지속
✔ 과거 용인 사례 (최대 -50%)처럼 평택도 추가 하락 가능성
✔ 미분양 해소 및 경매 낙찰가율 상승 시점이 바닥 신호
🏗 결론
📌 평택 아파트 가격은 당분간 하락세 지속 전망
📌 반도체 업황 회복과 미분양 감소가 전환점 될 것
📍 투자 시점 고려 필요 📉
2025.02.06 - [경제/부동산 이야기] - 【수도권】 또 '갭투자 → 집값상승' 시나리오 돌아오나 [토지거래허가 해제]
728x90
728x90
반응형
'경제 >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서울 고가 아파트, 최고가 경신 vs 지방 하락: 초양극화 심화 (2) | 2025.02.07 |
---|---|
【서울】 더블역세권, 광화문 출퇴근, 재개발 진행 중 [신당삼성아파트 33평 11억] (1) | 2025.02.07 |
【수도권】 또 '갭투자 → 집값상승' 시나리오 돌아오나 [토지거래허가 해제] (1) | 2025.02.06 |
【아파트 줍줍】 세종시 4억 시세 차익 [청약일정 변경 2월6일 →6,7일] (0) | 2025.02.05 |
【청약 정보】 서초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 일반 분양 [시세차 5억] (2)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