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차전지 5

전기차 수요 부진 - 이차전지 주가 하락 - 공매도 금지 - 주가 폭등?

[현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3.10 전기차 수요 부진을 이유로 국내외 전기차 및 이차전지 관련 주식 20~30% 수준 하락 '22.11.05 : 금융위 국내 주식 '24년 6월까지 공매도 금지 결정 (11.06 시행) '22.11.06 : 이차전지 관련주 (20~30% 급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차전지 관련 주가가 공매도 금지 모멘텀을 받고 지속 상승하여 기존 주가를 회복할 것인가 (더 나아가 추가 상승) 아니면 다시 하락할 것인가에 대한 예상을 해보면, 논리적으로는 이차전지..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산업 & 금리

[현황] (1) 전기차 수요 부진 전망에 따른 EV 및 이차전지 Value Chain 기업들의 주가 하락 *대표기업 : Tesla, GM, Lucid, Albemarle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2) 풍력, 태양광, 수소 프로젝트의 지연 및 연기 [원인] (1) 자국 중심의 친환경 산업 패권 확보를 각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실제 시장의 수요 대비 가파른 공급 (계획) *대표정책 : IRA(미국), 인프라법(미국), 그린딜산업계획(EU), RePower(EU) (2) 코로나 이후 기준 금리 인상에 따른 친환경 사업의 수익성 악화 [예측] (1) 친환경 중심의 산업패권에 대한 정책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나, 에너지전환의 속도 조절 가능성 높음 *대표사례 : (영국) 내연기관 차량 금지 시점..

[도요타] 핵심 강점을 중심으로 배터리 경쟁 지속!

도요타가 미국에 약 3.5조원 (25억달러)를 투자하여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구축하여 최대한 많은 고객에게 다양한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며, 최대 40GWh 배터리 생산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잇다. 특히 단순히 생산 공장을 확충하는 것이 아니라, 도요타만이 가지고 있는 핵심 강점을 살릴 것으로 기대된다. 도요타는 어떤 강점을 가지고 있는가?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전고체전지에 관한 특허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전고체전지는 기존의 리튬이온 이차 전지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 문제와 에너지 밀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전지로 알려져 있다. 글로벌 선도 업체들 모두 Lab scale 그리고 Pilot 단계에 그쳐 있지만, 누가 먼저 양산에 성공할 수 있는가를 두..

[칼럼]인플레이션 감축법이 국내 배터리 업계에 남긴 기회와 숙제

지난달 8월 19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최종 서명했다. 국내 산업계는 매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해당 법안에 따라 타격을 받을 기업뿐만 아니라,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역시 많은 숙제가 남아 있다. 특히 이미 미국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있는 국내 배터리 회사들의 경우, 북미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만큼 1차적인 보조금 요건을 충족할 수 있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먼저, 이번 IRA에 따라 북미지역에 진출하고 있는 국내 배터리 회사들은 중국 회사들에 비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1위 배터리 업체인 CATL이 북미 투자 계획을 보류하고, 헝가리로 투자 계획을 변경한 것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

환율 금리 증시전망 생각 21.8.12

환율 일주일내 7프로 상승 1180원 돌파 글로벌 주택가격상승 지속 국내증시 3060선으로 3000선 깨지는것에대한 시장 전망 반도체 경기민감주를 비롯한 외국인 매도세 3주 지속 글로벌 델타 환산 그리고 셧다운에 따른 공급망 우려 수요둔화 우려 중국의 경기 피크론 중국의 자국내 규제 강화 지속 미국 테이퍼링에 대해 우려 강화 연내에는 무조건 하는 분위기 아시아 시장 전체 부진, 특히 신흥국 신흥국은 환율 방어 및 주택가격 상승의 이유로 금리 올릴것 주택가격 잡히지는 않으나 환율 방어 미국은 연준의 플랜대로 금리 인상아닌 테이퍼링 진행 대세하락은 지금 오지 않음 대세하락은 부채 사이클에 따라와야하는데 아직 때가 아님 국내 주식시장은 큰폭의 상승장이 올 유인동기 없으나 다시 정상화 및 박스권 전망 이때 이익..

【생각들】 2021.08.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