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책,시장]

【시장】 서울 오피스텔 월세 고공행진 대출 규제·공급 감소로 상승세 지속

econjustice 2025. 2. 18. 06:45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 1년 내내 상승했으며, 전세사기 여파와 대출 규제 강화로 월세 선호 현상이 뚜렷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6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투자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출 규제 강화로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는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시에 오피스텔 신규 공급이 크게 감소하면서 월세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임차인의 부담은 커질 수 있고, 투자자들은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오피스텔 월세 상승세 지속… 6년 10개월 만에 최고 임대수익률 기록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전세사기의 여파로 월세 선호 현상이 강해진 데다,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면서 전세보다 월세를 선택하는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월세가 계속 오르면서 수도권 오피스텔의 임대수익률은 2018년 3월 이후 6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년 내내 오른 서울 오피스텔 월세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1.69% 상승했습니다. 분기별로도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 상승률

구분1분기2분기3분기4분기연간 상승률

구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상승률
상승률 0.40% 0.45% 0.49% 0.35% 1.69%

반면,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매매와 전세시장은 상승세가 주춤한 상황입니다.


반응형

두 달 만에 10~12만 원 상승한 월세 계약 사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월세는 단기간에도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 서울 오피스텔 월세 상승 사례

지역오피스텔전용면적계약 시기보증금월세상승액

지역 오피스텔 전용면적 계약 시기 보증금 월세 비고
마포구 동교동 A 오피스텔 32.76㎡ 2023.11 1000만원 78만원  
마포구 동교동 A 오피스텔 32.76㎡ 2024.01 1000만원 90만원 12만원 증가
성동구 성수동 B 오피스텔 28.08㎡ 2023.12 1000만원 75만원  
성동구 성수동 B 오피스텔 28.08㎡ 2024.01 1000만원 85만원 10만원 증가

불과 한두 달 만에 월세가 10~12만 원 오르는 등 오피스텔 월세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월세 수요 증가

오피스텔 월세 강세의 가장 큰 요인은 전세대출 규제 강화입니다.

  • 정부는 올해부터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100% → 90%로 축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에 따라 전세에서 반전세 또는 월세로 이동하는 수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수익률, 6년 10개월 만에 최고치

월세가 상승하면서 오피스텔 투자 매력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수익률 변화

시기임대수익률

 

  • 국고채(5년) 금리는 2023년 12월 기준 **2.68%**로, 오피스텔 임대수익률(5.13%)과 2.45% 차이가 있습니다.
  •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오피스텔 투자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피스텔 공급 감소, 월세 상승 지속 전망

오피스텔 신규 공급이 줄어드는 것도 월세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오피스텔 공급 감소 현황

구분2021년2023년감소율

시기 2021년 2023년 감소율
전국 오피스텔 분양물량 56,704실 16,522실 -70.87%
전국 오피스텔 입주물량 77,018실 32,214실 -58.18%
  • 오피스텔 분양물량은 2021년 대비 70% 이상 감소
  • 입주물량 역시 2021년 대비 절반 이하로 줄어듦

공급이 줄면서 월세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공급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예금 금리도 낮아지고 있어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결론

오피스텔 월세 상승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큼
대출 규제 강화로 월세 수요 증가 전망
오피스텔 임대수익률 상승, 투자 매력도 증가
신규 공급 감소로 월세 상승세 지속될 전망

올해도 오피스텔 월세 시장이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차인은 대출 규제와 공급 감소로 인해 월세 부담이 커질 수 있고, 투자자는 높은 임대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2025.02.09 - [【부동산】/[정책,시장]] - 【부동산】 한국은 아파트 공화국화 : 아파트 비중 70% 육박 전망

 

【부동산】 한국은 아파트 공화국화 : 아파트 비중 70% 육박 전망

[목차]   🏢 한국의 아파트 비중 증가 전망📌 주요 내용 요약🔹 저출생·고령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아파트 비중은 70%까지 증가할 전망🔹 수도권·광역시는 아파트 공급 증가, 지방은 인구

econ-justice.tistory.com

2025.02.14 - [【부동산】/[정책,시장]] - 【정책/시장】 월세 가속화, 외국계 자본의 기업형 월세 확대되나

 

【정책/시장】 월세 가속화, 외국계 자본의 기업형 월세 확대되나

최근 전세사기 사태 이후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서 외국계 자본이 국내 임대주택 시장에 빠르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 모건스탠리, KKR 등 글로벌 투자사들은 국내 기업

econ-justic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