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책,시장]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지속…원인과 전망

econjustice 2025. 3. 18. 06:14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지속…원인과 전망

 

1. 서울 아파트 가격 6주 연속 상승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6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하락세를 보이던 자치구들이 상승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계절적 성수기, 금리 인하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2. 자치구별 아파트 가격 상승 현황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2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상승하며 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강남 4구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일부 자치구는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전환하였습니다.

2.1. 상승 전환된 자치구

 

상승 전환 자치구  변동 사항 
동대문, 강북, 도봉 하락 → 상승
중랑, 노원 하락 → 보합
은평, 금천, 관악 보합 → 상승

2.2. 강남 4구 상승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강남 4구는 다음과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지역 상승률
송파구 0.72%
강남구 0.69%
서초구 0.62%
강동구 0.15%

서울시의 발표에 따르면,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은 해제 전 107건에서 해제 후 184건으로 증가했으며, 전용 84㎡ 평균 매매가격은 26억 3,000만 원에서 27억 원으로 2.7% 상승했습니다.

3. 상승 요인 분석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꼽고 있습니다.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강남 3구를 비롯한 주요 지역에서 거래가 활발해짐
  • 계절적 성수기: 봄철 이사 수요 증가
  • 금리 인하: 대출 부담 감소로 인한 주택 구매력 상승
  • 탄핵 국면 마무리 및 정책 변화 기대감: 시장 심리에 영향
  • 7월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 실시 전 실수요 증가

4. 향후 전망: 상승세 지속될까?

전문가들은 당분간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합니다.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이미 5,000건을 넘었으며, 일부에서는 6,000~7,000건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급격히 오르는 현상은 장기적으로 진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시 및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 공급 증가로 인한 가격 안정화
  • 스트레스 DSR 3단계 실시(7월 예정): 대출 한도 축소로 인한 구매력 감소

4.1. 스트레스 DSR 3단계의 영향

스트레스 DSR 3단계가 도입되면 대출 가능 금액이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 6,000만 원인 직장인이 수도권에 위치한 주택을 구매할 경우,

단계 대출 가능 금액
기존(DSR 규제 전) 4억 1,900만 원
DSR 2단계 3억 6,400만 원
DSR 3단계 3억 5,200만 원

이처럼 대출 한도가 줄어들면서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력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결론

현재 서울 아파트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공급 확대 정책과 DSR 3단계 시행 등의 요인으로 인해 급격한 상승은 제한될 전망입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에 관심 있는 투자자나 실수요자는 시장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신중한 의사 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2025.03.16 - [【부동산】/[분양,모집]] - 광교신도시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 무순위 청약 [5억 시세차익]

 

광교신도시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 무순위 청약 [5억 시세차익]

[목차]개요무순위 청약 세부 조건청약 대상 가구 및 조건분양가 및 시세 차익 전망단지 특징 및 입지 분석초역세권 입지단지 정보청약 경쟁률 기록전문가 전망 및 유의점전문가 분석유의할 점

econ-justic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