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책,시장]

【부동산 시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강남 집값 급등 호가 아닌 실거래가

econjustice 2025. 2. 21. 06:55

 


 

서울 강남권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이후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송파구 잠실, 강남구 대치동, 서초구, 강동구 등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면서 시장 분위기가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해제로 인해 억눌렸던 수요가 폭발하며 집값이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특히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이 점차 안정될 것이라는 신중한 의견도 있습니다.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값 상승세

서울 강남권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이후 집값이 급격히 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송파구 잠실, 강남구 대치동을 비롯해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전역에서 신고가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해제로 인해 억눌렸던 집값이 다시 오르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주요 아파트 거래 현황

 

지역 아파트명 면적 거래일 거래가격(억원) 직전대비(억원)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84 2월 11일 28.4 -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84 2월 8일 28.0 -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84 2월 13일 40.0 +4.9
강남구 대치동 은마 76 2월 14일 28.0 +0.6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165 2월 8일 58.0 +1.0
서초구 잠원동 래미안신반포팰리스 104 2월 8일 40.5 +2.0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84 2월 12일 21.0 +1.2
강동구 고덕동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59 2월 8일 14.55 +0.3

 


 

반응형

부동산 관계자들의 의견

  • 송파구 잠실동 A 공인중개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부터 실수요자들이 계약을 서둘렀고, 해제 이후에는 집값이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 서초구 반포동 B 공인중개사
    "설 연휴 이후 문의가 급증했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시장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강동구 고덕동 C 공인중개사
    "강동구에서 송파구로 이주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시장이 좀 더 안정되면 거래가 활발해질 것입니다."

전문가 분석과 전망

  •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이번 해제를 통해 강남권의 집값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강남권과의 집값 양극화도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 익명의 부동산 전문가
    "해제 이후 빠르게 오르는 집값은 억눌렸던 수요의 반영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점차 안정화될 것입니다."

최근 집값 상승률 및 매매 수급지수

 

지표 상승률(%)
서울 집값 (2월 셋째 주) +0.06
송파구 +0.36
강남구 +0.27
서초구 +0.18
  • 매매수급지수 (동남권 기준, 2월 둘째 주): 100.2
    → 9주 만에 기준선인 100을 넘어서며, 집을 사려는 실수요자들이 집주인보다 많아진 상황입니다.

정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권의 집값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규제 해제로 인해 억눌렸던 거래가 활발해졌으며, 앞으로도 이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이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2025.02.20 - [【부동산】/[정책,시장]] - 【시장】 준강남이 되어버린 과천, 재건축 마지막 퍼즐 완성중!

 

【시장】 준강남이 되어버린 과천, 재건축 마지막 퍼즐 완성중!

과천 원도심 재건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8·9단지는 빠르게 진행되며 2029년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과천은 강남 접근성이 뛰어나고, GTX-C 등 교통 호재가 있어 부동산

econ-justice.tistory.com

2025.02.20 - [【부동산】/[정책,시장]] - 【시장】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 59㎡ 20억 넘어 가나

 

【시장】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 59㎡ 20억 넘어 가나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의 입주권 가격이 급등하며 전용 59㎡는 20억 원을 넘어서고, 전용 84㎡도 26억 원대까지 상승했습니다. 신축 선호 현상과 함께 대형 단지의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econ-justic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