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제 이야기

【미국 정책】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는 매우 전략적!

econjustice 2025. 2. 4. 13:4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트럼프는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해 행정명령을 내리고 불과 2,3일 지나지 않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서는 유예를 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가 모든 것을 계산하고 있고, 계획대로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은 경계해야 겠지만, 일부 유예한 그의 전략은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관세가 협상용이라고 시장이 판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의 언행이 실질적인 협상력을 갖기 위해서는 실행이 선행되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철회가 아닌 유예를 통해 정치적인 긴장감은 유지한 상태로 상대방의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관세 명령 및 유예 전략을 효과성이 있었습니다. 

해당 상황과는 조금 다른 계위로 트럼프는 초기에 시장을 확실히 망가뜨리지는 않겠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요일 발표 이후 대부분의 세계 금융 시장을 급락을 보여주었으나, 트럼프의 유예를 통해 대부분 회복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에 대한 투자가 단/중기적으로는 아직 유효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Yotube - NBC News

 

 

트럼프가 일부 관세 정책을 유예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정치적 계산🎯

트럼프는 전략적 조정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중서부 제조업 지역 정치적 지지 유지
    → 자동차 및 철강 산업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높은 관세가 생산 비용을 상승시켜 미국 내 자동차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소비자 물가 상승은 트럼프의 주요 지지층(중산층·블루칼라 노동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부 유예.
  • 농업 및 에너지 산업 피해 완화
    → 미국 정유사 및 농업 기업들은 캐나다·멕시코와의 무역이 중요한 생명선.
    → 만약 높은 관세가 즉시 시행될 경우, 미국 내 원유 정제 비용 증가농산물 수출 감소가 예상됨.
반응형

2. 외교적 협상 지렛대 활용 ⚖️

트럼프는 관세를 외교적 지렛대로 활용하여 미국에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내려 했음.

  • 멕시코: 이민 문제 해결 압박
    →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국경 단속 강화를 약속하면서 트럼프는 관세를 한 달간 유예.
    → 이는 트럼프가 이민 문제를 해결하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실제로는 실용적인 외교 조정을 하고 있음을 보여줌.
  • 캐나다: 국경 통제 협력 확보
    → 캐나다는 1.3억 달러를 투입해 국경 보안을 강화하겠다고 발표.
    → 트럼프는 캐나다의 협력 조치를 받고 일부 관세를 유예하며 더 많은 양보를 끌어낼 여지를 확보.

3. 시장 충격 완화 및 기업 반발 고려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기업과 금융 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너무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부 완화했을 가능성이 큼.

  • 자동차 업계의 강한 반발 🚗
    → 미국 자동차 기업들은 관세가 시행되면 공급망이 무너지고, 생산 비용이 급격히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
    → 일부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사업 중단까지 우려했으며, 이를 감안해 트럼프는 관세 적용 방식을 일부 조정.
  • 에너지 업계의 로비 🛢️
    → 캐나다산 원유는 미국 정유사들이 의존하는 주요 원료이므로, 즉각적인 고율 관세가 에너지 가격 급등을 초래할 가능성.
    → 이는 트럼프의 주요 지지층(산업 노동자, 화물 운송업 종사자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10%로 낮춰 부과.
  • 금융 시장의 불안감 해소 📊
    → 트럼프의 급작스러운 관세 정책 발표로 주식 시장이 불안정해졌고,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혼란을 겪음.
    → 이에 따라 일부 유예를 통해 시장을 진정시키면서도 정치적·외교적 협상력을 유지.

결론: 강경한 보호무역 기조 속 실리적 조정 🔍

트럼프는 강한 보호무역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 충격을 줄이고 외교적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부 관세 유예를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 정치적으로는 미국 내 핵심 지지층을 유지하는 조치
  • 외교적으로는 멕시코·캐나다와의 협상에서 더 유리한 위치 확보
  • 경제적으로는 기업과 금융 시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전략적 선택

 

트럼프의 멕시코 /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에 대한 NBC News

Trump pauses tariffs on Canada and Mexico in exchange for ramped up border security

 

2025.02.01 - [경제/경제 이야기] - 【미국 정책】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시작 (무역 전쟁의 서막 : 한국영향)

 

【미국 정책】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시작 (무역 전쟁의 서막 : 한국영향)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트럼프는 대선 선거 당시 강조했던 무역 불균형과 미국의 산업 부흥을 위해 각국들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처음 발표한 것은 멕시코와 캐

econ-justice.tistory.com

2025.02.02 - [경제/경제 이야기] - 【국제 경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촉진제가 될 것인가?

 

【국제 경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촉진제가 될 것인가?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라는 케치프레이즈 하에 트럼프 행정부는 먼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였는데요. 이번 관세 정책의 효과는 1기 때와는 다를

econ-justice.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