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스코 2

[210831_에너지패권-투자]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정보와 시나리오 (뇌피셜) 1. 탈탄소화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석유/가스의 에너지 자원 위상은 점차 축소 2.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부각 3. 이중 "수소"는 에너지를 생성함과 동시에 에너지의 이동을 가능케하는 유력한 자원 =>자연상태에서 채굴할 수 없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해야함 =>그렇다면 신재생에너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곳은 중국/유럽/미국.. 한국은 아니지 4. 중국은 이러한 상황에서 아시아 국가들에게 값싼 수소를 공급함으로써 에너지패권 지위를 누리기 위해 노력할 것 5. 한국은 수소를 어떻게 운송할 것인가? : 남북으로 나누어져있으니 중국으로부터 수소를 받기 위해 해상 루트를 이용할 것이지 6. 한편, 철강 산업은 탈탄소를 위해서는..

카테고리 없음 2021.08.31

[210714_경제] 철강 업계에 대한 방향

철강 업계에 대한 방향 21.07.14 1. 철강수요 증가 ①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정책 -> 인프라 구축 투자 확대 ② 전기자동차로의 전환 / 선박 발주 증가 -> 철강판 수요 ③ 친환경 인프라 구축 2. 찰강공급 제한 ① 중국의 철강 공급제한 정책 유지 /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철강수급의 불균형 -> 철강공급 제한 ② 환경 규제에 따른 철강 생산 차질 (탄소 발생량 조절 필요) 3. 철강가격의 증가 ① 철강수요 증가 및 공급의 제한으로 인한 철강가격 상승 ② 양적완화&저금리로 인한 유동성 증가 -> 물가 상승 *2% 평균물가목표제로 인한 금리 인상 시기의 지연 4. 철강업체의 이익 증가 ①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 증가 ②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철강업체들의 협상력 상승 5. 미래준비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