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생각들】 117

【국제 경제】 미국 관세? 캐나다도 미국에 보복 관세 25% 부과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과 실제 이번주 화요일 부터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정부는 준비가 되었다는 정도로 대응을 하였었는에요. 오늘 캐나다도 미국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주말 사이에 나온 반응으로 내일 장이 열리게되면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증시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말 사이에 가상화폐 시장을 봐도 이에 대한 영향을 엿볼수 있습니다. 물론 가상화폐의 일부 조정은 빌게이츠의 자서전 인터뷰(가상화폐는 스스로를 속이고 있는 것이다)에 대한 영향 그리고 더이상의 호재를 시장에서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 반영될 결과 일 수도 있으나 단기적인 영향이 있어보입니다. 물..

【유럽 경제】 유럽은 정체된 경기 속 인플레이션은 완화 (금리 인하)

2025.01.31 - [경제/회사 이야기] - 【일본 기업】 엔화 강세를 이용할 수 있는 투자 옵션 ② (히타치)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세계 경제의 중심이 미국이고, 모두가 미국을 주목하고 있을 때 유럽은 계속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붕괴, 높은 인플레이션, 관광 산업의 피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 많은 수 없이 많은 원인으로 유럽의 경기는 침체된 상황입니다. 유럽의 강국들이 시름시름 앓고 있는 상황에서 스페인과 같은 기업은 선전하고 있지만 유럽 전체의 경기를 이끌어 가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얼마전 유럽은 기준금리는 추가로 인하하였습니다. 벌써 5번째 인하입니다. 그만큼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은 약해졌다는 것인데, 다시 말하면 경기가 그만큼 좋지 못하다라는 것입니다. ..

【미국 산업】 관세 부과 : 미국 철강 기업의 새로운 기회 (투자자 관점)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아직 세부 품목을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관세 부과의 흐름은 단순한 협상용이 아닌 실제 부과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손해를 보는 기업도 있지만, 미국 내 일부 기업들은 정책의 목적과 같이 추가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미국의 철강 업계에 대해서 보고자 하며, 투자자의 관점에서 어떤 기업에 투자하라 수 있을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 관세 부과 : 미국 내 철강 기업의 경쟁력 확보📌 요약 (Executive Summary)최근 미국 정부가 철강 수입에 대한 관세를 확대하면서, 국내 철강 기업들이 유리한 시장 환경을 맞이할 것이라는 기대가 ..

【미국 정책】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시작 (무역 전쟁의 서막 : 한국영향)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트럼프는 대선 선거 당시 강조했던 무역 불균형과 미국의 산업 부흥을 위해 각국들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처음 발표한 것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입니다. 상세 품목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과거 1기 때와 비슷하게 품목을 점차 확대해 나가는 방식으로 협상력을 확대하고, 자국 내 미치는 영향을 연착시키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특히, 이번에 강조한 것은 '협상'을 위한 레토릭이 아니라는 말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는 멕시코와 캐나나다와의 무역 적자, 불법이민, 마약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협상 수단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후 전개될 양상이..

【일본 기업】 엔화 강세를 이용할 수 있는 투자 옵션 ② (히타치)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에 이번에도 엔화 강세에 자본 수익을 추가할 수 있는 투자 옵션으로 일본 회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히타치에 대해서 들어보신분도 있고, 아직 못 들어보신 분도 있겠지만 역사가 매우 오래된 기업입니다.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상황이지만 미국의 주가가 크게 훼손되는 순가이 오기 전까지는 매우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미국 시장이 어려운 순간이 왔을 때도 엔화는 안전자산 역할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자산으로 보다 안정적인 투자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엔화 강세를 활용한 투자 옵션: 히타치(Hitachi)최근 일본 엔화가 강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

【일본 기업】 엔화 강세를 이용할 수 있는 투자 옵션 ① (미쓰비시전기)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미국은 트럼프 집권 이후 금리 하락에 대한 압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물론 파월이 1월 에는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였지만, 금리 인하에 대한 압박을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반대로 유럽은 추가 한차례 금리를 인하하였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잘 아는 것과 같이 소폭의 인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고, 향후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일본 엔화의 강세는 매우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때문에 벌써 많은 국내 자금이 엔화에 쏠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엔화 통장으로 단순히 환차익을 노리기 보다 일본 주식투자를 통해 추가적인 자본수익을 얻는 것은 좋은 옵션일 것 같아 관련 투자처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SMR 시장에 pr..

【기업】 C레벨은 모두 등기 임원인가? (인사 발표 전 임원 인사 공개)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오늘은 임원 이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통 회사의 C레벨들은 전무급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금 헛갈리는 것은 C레벨의 통상 직급이 높기 때문에 모두가 등기 임원인가 아닌가라는 점이 헛갈리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등기임원 그리고 C레벨 임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만약 미등기 임원이지만 C레벨의 임원이 본인의 승진을 공식적인 발표 전 SNS에 공개를 했을 경우, 어떻게 될 것인가 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C레벨 임원은 등기임원인가? 한국에서 대기업의 C레벨(C-Level) 임원들은 일반적으로 등기임원(Registered Executive)인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모든 C레벨이 등기임원인 것은..

[미국 헌법] 수정 헌법 14조 (시민권과 평등 보고 원칙)_불법 이민자 시민권 관련

안녕하세요. Econjustice 입니다. 트럼프는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에 있는 불법 이민자의 자녀가 자동으로 시민권을 부여 받는 과거의 관행들을 바꾸려고 하고 있습니다. 시민권의 부여는 사실 미국의 수정 헌법 14조에 따라 진행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행정명령을 통해서 바뀔수는 없지만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현실화를 염두해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배경 맥락에서 오늘은 미국의 '수정헌법 제 14조'의 개요와 해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수정헌법 제14조 (Fourteenth Amendment) 개요 및 해석미국 **수정헌법 제14조(Fourteenth Amendment)**는 1868년 남북전쟁 이후 제정된 헌법 조항으로, 미국 시민권과 평등 보호 원칙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생각들】 2025.01.30

[미국 정책] 불법 이민자의 시민권 부여 박탈 (트럼프 행정 명령)

안녕하세요. Ecnojustice 입니다.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많은 행정명령들이 나오기 시작하면 새로운 질서를 찾아가기 위한 진통을 겪고 있는 중입니다. 새로운 갈등일 수도 있고, 새로운 변화의 방향일 수도 있지만, 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사회의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것은 명확해 보입니다. 오늘은 그중에 미국의 출생 시민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국은 기본적으로 속지주의로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에게는 미국 시민권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원정 출산으로 인하 사회적인 문제가 있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에서는 사실 이러한 시민권의 부여가 과거 수정 헌법을 통해 이루어 졌고, 사회의 통합의 한 축으로 역할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불법 이민자의 문제가 일자리를 연결되면서 사회적 갈등의 핵..

【생각들】 2025.01.30

[해외기업] Ambev S.A. (NYSE: ABEV): 브라질의 글로벌 음료 기업

Ambev S.A. (NYSE: ABEV): 브라질의 글로벌 음료 기업 1. Ambev S.A.는 어떤 회사인가?  Ambev S.A.는 브라질을 대표하는 맥주 및 음료 제조 기업으로, 뉴욕 증권거래소(NYSE: ABEV)와 브라질 상파울루 증권거래소(B3)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 회사는 세계 최대 맥주 기업 중 하나인 AB InBev의 자회사로, 남미, 중앙아메리카,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브라질뿐만 아니라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등 남미 주요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브랜드로는 브라질의 국민 맥주 Skol, Brahma, Antarctica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Budweiser, Stella Artois, Corona 등의 브랜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