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동산 이야기

【부동산】 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점점 전세를 찾기 힘들어진다]

econjustice 2025. 2. 10. 20:3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 아파트의 월세화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월세 비중이 증가하며 지난해 4분기에 44%를 기록해 최근 2년 내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 전세 가격 상승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전세를 선택하기 어려운 수요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계약갱신청구권제 활용이 늘어나면서 신규 전세·월세 계약보다 기존 계약을 연장하는 경향이 뚜렷해졌습니다. 앞으로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부동산 정책과 금리 변동이 시장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2년 내 최고치… 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


📈 전·월세 시장 변화: 월세 비중 증가, 전세 비중 감소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2023년 4분기부터 월세 비중이 증가하며, 지난해 4분기에는 **44%**를 기록해 최근 2년 내 최고치를 달성했다. 부동산R114 분석에 따르면, 이는 전방위 대출 규제로 인한 매매 수요 감소, 전세 사기 여파, 전세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2024년 4분기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 비중

  • 전세: 56.0% (3만 112건)
  • 월세: 44.0% (2만 3657건)
  • 월세 비중이 전 분기 대비 3.3%p 증가

🔄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는 수요자들

전세 가격 급등으로 인해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진 수요자들이 월세 시장으로 이동 중
갱신계약 비중 증가 → 새로운 계약보다 기존 계약 연장이 선호됨
주요 단지 사례:

 

  • 송파구 헬리오시티 전세보증금 📈 8억 1000만 원 → 10억 원 (+23%)
  • 전세대출 80% 이용 시, 월 이자 부담 📈 244만 원 → 300만 원
  • 동일 단지·면적 월세 갱신 계약 📈 126만 원 → 178만 원 (+40%)

📌 부동산R114 해석: "높아진 전셋값으로 인해 신규 전세·월세 계약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반응형

📉 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원인 분석

1️⃣ 전세대출보증 비율 인하 예정 (100% → 90%)

  • 전세대출 한도 축소 우려로 전세보다 반전세·월세 선호 증가

2️⃣ 2025년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부족 전망

  • 공급이 줄어들며 전세가 상승 가능성 높아짐

3️⃣ 가계대출 규제 강화 기조 유지

  •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전세를 선택하는 부담 증가

📌 부동산R114 전망: "전세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면, 반전세나 월세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 전세의 월세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


⚖️ ‘임대차 3법’과 다시 불거진 정책 논란

🏛 임대차 3법 개요 (2020년 7월 시행)
계약갱신청구권제 (2년 계약 + 2년 연장 요구 가능)
전·월세 상한제 (임대료 인상률 5% 제한)
주택임대차 신고제 (2025년 5월 시행 예정)

💬 정치권 논쟁 재점화

  • 윤희숙 前 의원(국민의힘, 2020년)
    • "전세 소멸로 월세 전환이 가속화될 것"
    • "4년 뒤엔 모두 월세를 내야 할 상황이 올 것"
  •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2020년)
    • "전세는 원래 사라질 운명을 지닌 제도"
    • "월세가 보편화되는 것은 나쁜 현상이 아니다"

📌 현재 국토교통부 연구 결과:
✔ 임대차 3법 개정안 검토 중
전면 폐지, 지역별 자율 운영, 계약갱신요구권 조정 등 다양한 개선안 논의


🔮 부동산 시장 전망: 전·월세 시장 변화 지속될까?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는 흐름 지속 예상
금리 인하, 부동산 정책 변화가 시장의 변곡점 될 가능성
신규 공급 부족으로 전세가격 상승 지속 가능성

 

📌 결론: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전세 보증금 마련 부담 증가와 대출 규제로 인해 월세 선호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이 향후 시장 흐름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728x90

 

2025.02.10 - [경제/부동산 이야기] - 【부동산】 서울/수도권 하락하는 아파트 (~35%↓)

 

【부동산】 서울/수도권 하락하는 아파트 (~35%↓)

안녕하세요. 직주근접이나, 강남 아파트들이 신고가 행진을 하고 있는 사이, 일부 지역의 아파트들은 많게는 1/3토막 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하락하고 있는 서울/수도권 아파트에 대해서

econ-justice.tistory.com

2025.02.09 - [경제/부동산 이야기] - 【모집공고】 동탄호수공원 자연&자이 장기전세주택 [계약가, 일정, 요건]

 

【모집공고】 동탄호수공원 자연&자이 장기전세주택 [계약가, 일정, 요건]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탄호수공원 자연&자이 장기전세주택 모집 공고에 대해서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청약 일정, 요건, 방법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장기전세주택에 대해서도 공유드립니다.

econ-justice.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