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회사 이야기

【공모주】 LG CNS 공모주 상장일 얼마까지 갈까?

econjustice 2025. 2. 3. 20:43
반응형
안녕하세요. Econjustice입니다. 

'25년 공모 시장에서 가장 큰 대어 였던 CNS 청약이 마무리되고, 2월 5일에 상장할 예정입니다. Deepseek충격,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등의 이유로 시장에 매우 안 좋을 상황이지만, 그래서 충격이 어느 정도 시장에 반영된 이후 시점에서 상장을 한다는 점에서 기대해 볼 만합니다. 

시장 상황을 고려해 볼때,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들은 상장일에 매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장일 주가가 어느정도 상승했을 때 매도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순간적인 매도로 인해 주가가 크게 하락하였을 때 일부 매수를 하고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시는 전략도 유효해보입니다. 

오늘은 CNS 상장과 관련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 LG CNS 상장 전망: 주가는 어디까지 갈까?

LG CNS, 6조원대 대어급 IPO… 주가 향방은?


LG CNS가 오는 2월 5일 코스피에 상장하며, 최근 IPO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로 떠올랐다. 확정공모가는 6만1900원, 예상 시가총액은 약 6조원 수준이다.

 

📈 LG CNS의 상장 기대 요인

  • 뜨거운 수요예측 및 청약 경쟁률 🔥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114대 1, 일반 청약 경쟁률 122.9대 1을 기록하며 21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
  • AI·클라우드·빅데이터 성장성
    LG CNS는 디지털 전환(DX)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이며, 스마트팩토리·금융 디지털 혁신·생성형 AI 등의 분야에서도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 안정적인 매출 성장
    2019년 3.28조원이던 매출이 2023년 5.6조원까지 증가했다. 2023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 31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7.5% 성장했다.

 

 

상장 후 주가 전망: 따따블 가능할까?


LG CNS의 공모가 대비 4배 상승(‘따따블’)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긍정적 시나리오:

  • LG에너지솔루션(373220)의 사례처럼 상장일 강한 수급이 형성될 경우, 공모가의 23배(1218만원대) 도 가능할 수 있음.
  • 기관 투자자의 99%가 공모가 이상 가격을 제시한 점도 긍정적.

 부정적 시나리오:

  • 경기 침체 및 IPO 시장 위축으로 인해 최근 상장 종목들이 기대보다 낮은 주가 흐름을 보임.
  • **유통 물량 부담(28.49%)**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급등보다는 점진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음.
  • 비교 기업인 **삼성SDS(018260)의 시총(약 9.5조원)**을 고려하면, ‘따따블’(24만원)은 비현실적이며, 공모가 대비 1.52배(912만원) 선이 유력해 보임.
  •  

 

결론: 단기 급등보다는 안정적인 상승 전망


LG CNS는 IPO 시장 침체 속에서도 투자자의 관심을 모으며 성공적인 상장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따따블’은 어렵고, 현실적으로 9~12만원 선에서 주가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장기적으로 클라우드·AI 사업 성장성이 반영되면 추가 상승 여력도 충분하다.

 

반응형

 

[참고]

https://youtu.be/B3u8O4CwV9M

 

 

📌 LG CNS: 회사 역사와 매출 구조 분석


1. LG CNS 개요

LG CNS는 LG그룹의 IT 서비스 계열사로,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팩토리 등의 디지털 전환(DX)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 설립연도: 1987년
  • 본사 위치: 서울특별시
  • 모기업: LG
  • 사업 분야:
    • IT 서비스 및 시스템 통합(SI)
    • 클라우드 전환 및 운영
    • 스마트팩토리
    • 금융 및 공공 부문의 디지털 혁신
    • 빅데이터·AI 기반 솔루션

2. LG CNS의 역사

LG CNS는 **럭키금성(LG)**과 미국 EDS의 합작법인 **STM(System Technology Management)**으로 출범했다. 이후 국내 IT 산업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며, LG그룹의 IT 인프라를 총괄하는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 주요 연혁

  • 1987년: LG CNS의 전신인 STM 출범
  • 1995년: LG CNS로 사명 변경
  • 2000년대: 금융·공공·제조 산업의 IT 인프라 구축 주도
  • 2010년대: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신사업 확장
  • 2020년대: 디지털 전환(DX) 사업 강화, IPO 추진

3. LG CNS의 매출 구조

📈 LG CNS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기록 중이며, 최근 클라우드·AI·빅데이터DX(디지털 전환) 사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 최근 5년 매출 성장

연도매출액(조 원)영업이익(억 원)

2019 3.28 1,709
2020 3.61 2,260
2021 4.37 2,847
2022 4.89 3,026
2023 5.60 3,128

📌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DX(디지털 전환) 사업: 50% 이상
    • 클라우드 전환, 빅데이터, 스마트팩토리, AI 기반 솔루션
  • IT 서비스 및 시스템통합(SI): 40%
    • 기업 및 공공기관 IT 인프라 구축
  • 기타 (금융, 물류 IT 등): 10%

매출 주요 특징

  • IT 서비스(SI) 중심이던 사업이 최근 클라우드·AI·DX 중심으로 변화
  • 클라우드 매출 비중 증가: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성장에 따라 매출 비중이 확대됨
  • 공공·금융·제조업 IT 인프라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도 개척 중

4. LG CNS의 성장 전략

🚀 클라우드 & AI 기반 디지털 전환(DX) 가속화

  • 클라우드 매출 확대: 클라우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 강화
  • 생성형 AI 및 빅데이터 사업 확장
  • 스마트팩토리 & 스마트물류 기술 개발

📌 미래 성장 포인트

  • DX 사업(클라우드·AI) 중심으로 매출 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 IPO 이후 기업가치 상승 가능성이 존재
  • LG그룹의 IT 인프라 관리라는 안정적인 매출 기반 보유
  • 글로벌 시장 진출과 AI·클라우드 분야에서의 혁신 여부가 향후 주가 방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

5. 결론

LG CNS는 LG그룹의 핵심 IT 계열사로, 기존 IT 서비스(SI) 기반에서 클라우드·AI·DX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상장 후에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AI·클라우드 혁신을 통해 장기적인 주가 상승 가능성이 충분히 기대된다.


반응형